5억명이 사용하는 AVAST 안티바이러스 백신 어베스트코리아 바로가기


Naver 스마트스토어 구매

분류 전체보기 1122

Avast 개인정보 데이터 처리 관련 안내

안녕하세요? Avast에서는 2015년 인수한 Jumpshot과 위협에 대한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Avast 무료 버전에서 개인사용자 정보를 일부 공유하였습니다(그러나, 개인 이름, 이메일주소, 카드 정보 등 중요 정보는 공유하지 않음).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Avast 백신 내에서 추적하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도록 하는 Opt-out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였으며 2020년 2월 부터는 모든 제품에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개선할 것이라고 전하였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사용자 선택 메뉴를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도록 확대하여 적용하였습니다. Avast와 개인정보 데이터 수집과 업그레이드 안내 등의 팝업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려면 설정 > 일반 > 개인정보보호 메뉴에서 모든 ..

새로운 소식 2020.01.29

Avast 백신은 윈도우 7 운영체제에 대해 최소 2년 이상 지원합니다

안녕하세요? 2020년 1월 14일부로 윈도우 7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기술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보안 이슈에 대한 문의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MS사가 윈도우 7에 대한 최종 업데이트를 마지막으로 제공했기 때문에 윈도우 7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번 최종 보안 업데이트를 실행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1월 14일 부터 MS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보안 업데이트, 보안 패치 등의 기술적 지원을 중단하였기 때문에 가급적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운영체제의 약 26%는 아직 윈도우 7일 사용하고 있고 Avast 연구팀에 따르면 어베스트 사용자의 약 30%는 윈도우 7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윈도우 7에 대한 멀웨어 및 바이러스의 위험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추..

새로운 소식 2020.01.15

Avast 프로그램 상의 자체 광고 팝업 끄기 (클린업 등)

Avast 프리미엄(개인용) 구매시 어베스트는 백신 기능 외에 유료 옵션인 클린업, VPN, 드라이버 업데이터 등의 애드온 제품이 있는데 이들 기능은 별도의 라이선스를 구입하여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Avast 프리미엄 사용 중 정크파일 및 레지스트리 정리 기능을 사용해 보라는 안내 팝업이 종종 귀찮게 합니다. 막상 정리 기능을 사용하려면 유료 구독 창으로 넘어 가는데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매우 성사실 수 밖에 없습니다. 어베스트 자체 내의 유료 옵션 광고 기능을 끌 수 있는데 많은 분들이 이 기능을 끄지 않고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쉽게 광고를 보지 않도록 조치가 가능합니다. 광고 설정 끄기 1) 어베스트 실행 후, 우측 상단의 메뉴 버튼 (개인용, 업무용 동일)을 클릭하여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

IE 웹브라우저에서 일부 https 사이트 접속시 "서버 인증서가 취소되었으므로 ..." 경고창이 뜨는 경우

2019년 11월 13일 오전 부터 일부 사용자들로 부터 어베스트 경고창에 대한 문의가 있었습니다. 경고창은 "서버 인증서가 취소되었으므로 Avast에서 https://사이트명으로의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이란 내용입니다. 경고창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본 증상은 윈도우 7과 윈도우 8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에게 발생되는 경고창으로 어베스트의 오진으로 볼 수 없으며 윈도우 7/8/8.1/10 운영체제에서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에서는 경고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심지어 윈도우 10에서는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도 문제가 없습니다. 본 증상이 보여지는 PC는 윈도우 7, 윈도우 8/8.1 상의 인터넷익스플로러(버전 11.0)에서만 경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구 운영체제에서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 사용하는 ..

새로운 소식 2019.11.14

[엠시소프트] 2019년 2분기, 3분기 랜섬웨어 통계 보고

랜섬웨어 예방 솔루션인 엠시소프트 연구소에서 안티2019년 2/4분기와 3/4분기 랜섬웨어에 대한 통계가 나왔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엠시소프트 블로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당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개략적인 정보를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감염 랜섬웨어 TOP 10 STOP (djvu): 56.00% Dharma (.cezar family): 12.00% Phobos: 8.90% GlobeImposter 2.0: 6.50% REvil / Sodinokibi: 4.50% GandCrab v4.0 / v5.0: 3.60% Magniber: 3.30% Scarab: 2.00% Rapid: 1.80% Troldesh / Shade: 1.40% 국가별 랜섬웨어 감염 순위 Indonesia: 17.10% Indi..

새로운 소식 2019.10.16

Mac에서 AVAST 안티바이러스 제거 방법

Mac에서 AVAST 안티바이러스 제거 방법 최근 타사 어플 설치시 함께 설치되는 번들용 어베스트 맥 버전의 제거에 대한 문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Avast 맥용 백신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아래의 과정을 따라 어베스트 Mac 버전을 제거하시기 바랍니다. 어베스트 Mac용 백신을 제거하려면 휴지통으로 이동하는 것은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응용프로그램에서 제거 1) 응용 프로그램 Avast 백신을 더블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2) Avast 메뉴 > [Avast Security 제거]를 클릭합니다. 3) Avast 제거 팝업창에서 [제거]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를 실행합니다. 4) 관리자 계정 또는 터치 ID를 입력하여 제거권한을 갖고 제거를 시작합니다. [사용자 이름]과..

[어베스트코리아] Avast 모바일에서 조사한 사진 저장에 관한 실태 - 약 22%의 사진의 화질이 나쁘거나 중복저장

Avast 모바일 제품인 모바일 클린업을 통해 조사해 보니 휴대폰에 저장된 사진들의 22%에 해당되는 사진 들이 중복 보관되어 있거나 화질이 매우 낮은 불량한 사진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휴대폰에 보관된 사진 중 낮은 해상도로 보관된 경우는 약 6%이고 중복된 사진은 16%에 이르렀는데 이런 나쁜 사진(?)은 휴대폰의 저장공간 부족과 느려짐을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왓츠앱 등의 메신저 등에서 사용된 스크린샷을 정리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다는 것으로 휴대폰 이용관리에 관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많은 나라 들 중에 한국이 이런 나쁜 사진(?)이 보관된 비율이 일본(31%)에 이어 30%로 두번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어베스트 안드라이드 클린업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

새로운 소식 2019.10.08

Avast의 드라이버 파일 변조나 특정 파일이 없어서 윈도우가 부팅되지 않는 경우

어베스트 백신을 설치한 후에 윈도우가 부팅되지 않고 블루스크린(BSOD)가 발생한 경우, 일부 사례에서는 안전모드 또는 USB 부팅을 통해 아래 폴더(파일)을 삭제하여 부팅될 수도 있습니다. 부팅 CD를 통해 부팅 삭제 : c:\windows\system32\drivers\asw*.* (asw로 시작하는 어베스트 파일) 삭제 : c:\Program Files\Avast software\ 폴더 삭제 삭제 : c:\ProgramData\Avast software\ 폴더 삭제 (숨김폴더) 부팅 CD는 윈도우 또는 MS 사이트에서 만들 수 있으며 어베스트의 경우 검사 메뉴에서 부팅CD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는 https://www.hirensbootcd.org/download/ 사이트에서 부팅CD를 만들 수 ..

[어베스트코리아] 엠시소프트가 바라본 2019년 랜섬웨어 동향

엠시소프트 (Emsisoft) 안티멀웨어 연구진들이 바라본 2019년 랜섬웨어의 동향을 정리해 봅니다. MSP 및 호스팅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공격 상승세 사이버 범죄자들은 MSP 서비스 제공업체와 호스팅 업체 들에 대하여 이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타겟 공격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여러개의 서비스 업체를 지속적으로 공격하고 대상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랜섬웨어 몸값의 요구 금액 증가 해커들은 최대한 몸값을 높이고 있으며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평균 기업에 $500,000의 몸값을 요구하였지만 최근 $600,000로 늘리고 있으며 앞으로 요구금액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사이버 위험에 대한 보험 필요성 증대 국내에서 랜섬웨어에 대한 보험은 없거나 미미하겠지만 미국 시장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