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명이 사용하는 AVAST 안티바이러스 백신 어베스트코리아 바로가기


Naver 스마트스토어 구매

분류 전체보기 1122

Avast 기업용 비즈니스 클라우드에 원격접속 기능 추가 예정

안녕하세요? Avast 기업 용 제품인 어베스트 비즈니스 클라우드 중앙관리 제품에 Avast의 원격제어 기능이 탑재될 예정입니다. 기본 백신 기능 외에 처음으로 추가된 어베스트 패치관리 시스템에 이어 두번째로 추가되는 서비스로서 원격제어 기능은 중소기업 및 MSP 제공 기업에 기술지원 서비스로서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어베스트 비즈니스 원격제어는 IT 관리자를 지원하기 위해 디자인 되었으며 언저 어디서나 사용자들을 원격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능으로, 기존 사용 중이던 별도의 원격지원 제품들과 매우 유사합니다. IT 관리자는 즉각적으로 사용자 기기에 대해 원격으로 보안접속하여 파일이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어떤 문제에 대해 실시간으로 문제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직 정확한 출시 ..

새로운 소식 2020.07.30

(어베스트코리아) Avast 백신 20.5 버전 출시 - 원격접속 감시 모듈 탑재 등

안녕하세요? 2020년 7월 3일 어베스트 컴퓨터 백신은 20.5 버전으로 오늘 중요 업그레이드를 실시하였습니다. 이번 업그레이드 버전에서의 큰 차이는 RDP 포트로 공격하는 랜섬웨어 및 악성코드에 대해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RDP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한 것입니다. 이는 해커에 대항하는 매우 강력한 기능으로 내 컴퓨터에 누가 원격으로 접속을 시도하는지를 감시하고 차단할 수 있는 기능으로 랜섬웨어에 대응의 수준을 상당히 높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버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격 액세스 실드 도입 - 해커로부터 더욱 강력한 보호 기능 제공 이 새로운 기능을 통해 컴퓨터에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차단할 수 있다. (Avast 프리미엄 시큐리티 및 얼티미트) 랜섬웨..

새로운 소식 2020.07.03

(어베스트코리아) Apple Mac 컴퓨터 백신도 AVC에서 100% 검출확인된 어베스트 맥용 백신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2020년 애플 Mac용 백신 보안 테스트를 수행한 AV-Comparatives에 의하면 어베스트(Avast)와 AVG 모두 3가지 평가 척도를 기준으로 100% 검출하여 차단한 것으로 인정받았습니다. 1) 207개의 최신 Mac용 악성코드 샘플과, 2) 400개의 Mac용 PUA 방어 샘플, 3) 500개의 윈도우 멀웨어 샘플을 갖고 검출 테스트한 결과 Avast와 AVG는 모두 100% 검출하여 방어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Mac용 보안 백신 제품은 사실 많지는 않습니다. 이번 테스트에 참여한 백신도 9개사에 불과하였고 사실 Avast와 AVG는 이제 동일한 엔진과 시그너처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 제품으로 보면 되기 때문에 8개사가 참여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Avast의 맥용 백신 제품은..

새로운 소식 2020.06.30

(어베스트코리아) Avast 20.5 버전에서 새롭게 발표될 Remote Access 감시 모듈 - RDP를 통해 공격하는 랜섬웨어 방어를 목적으로 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은 가장 흔한 사이버 보안 공격 벡터로, 2019년 1분기 공개된 표적형 랜섬웨어 캠페인의 63.5%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랜섬웨어 공격과 관련된 평균 다운타임은 7.3일이며 평균 비용은 $64,645 만큼 소요됩니다. 악성코드를 퍼뜨리는 것 외에 RDP 공격은 숙련된 해커가 기업 환경에 침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RDP는 대부분의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에서 모든 보안 계층을 회피하고 시스템을 직접 손상시키는 궁극적인 감염 벡터입니다. 최근 COVID-19 대유행에 따라 많은 수의 직원들이 집에서 일하면서 재택근무시 원격접속을 통해 일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RDP 기반 공격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방어를 목적으로 Avast는 원격 엑..

Avast 설치 시 side-by-side 오류 발생 처리에 대한 안내

일부 시스템(특히 윈도우 서버 2008 및 2012 스탠다드 버전)에서 어베스트 및 AVG 업무용 백신 설치 시 side-by-side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문제해결 로드맵이 완성되었습니다. 현재 프로그램 버전 20.4 버전까지 업데이트되어 어느 정도 해결되었지만 완전한 해결은 7월 중순에 발표될 20.5 버전에서 완전하게 문제를 해결하여 출시할 것이라고 합니다. 해결 버전 : Avast / Avg 비즈니스 20.5 (2020년 7월 중순 발표 예정) 새로운 버전이 발표되기 전 임시 처리 방안 Avast 비즈니스 AvastCrt 파일 다운로드 (AvastCrt.zip) 이 파일을 압축을 풀어 InstallResist.cmd 파일을 실행합니다. CMD 창이 나타나고 파일의 설치/제거 결과를 나오면,..

Avast 비즈니스 20.4 버전 업데이트 (어베스트코리아)

안녕하세요? 2020년 6월 18일, Avast 비즈니스 단독버전 및 중앙관리 버전용 프로그램 버전이 20.4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본 업데이트는 Avas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새로운 개선사항과 버그 픽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존 설치된 버전에서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통해 업데이트하거나 새로운 설치파일을 내려받아 업데이트 설치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설치 이후에는 재부팅이 필요합니다. 서버 운영체제에서는 자동 업데이트되지 않으며 관리자가 수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재부팅하여야 합니다. 개선 사항 더 안전한 웹브라우징 - 웹 방어는 사이트 인증서 기반의 악의적인 사이트를 차단을 개선하였습니다. 버그픽스 Avast 방화벽이 MS의 WIreless Display Adapter와 호환되도록 하였습니다 행동 감시..

윈도우 2012서버 (스탠다드)에서 side-by-side 오류 발생시 MS Visual C++ 배포판 설치로 해결

윈도우 서버 2012R2 이후 부터는 어베스트 비즈니스 for 서버 백신이 정상적으로 설치되나 2012 스탠다드 버전에서 설치되지 않는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MS의 비쥬얼 C++ 배포파일 설치를 먼저 진행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Visual C++ 2005 Service Pack 1 Redistributable Package ATL Security Update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766a6af7-ec73-40ff-b072-9112bab119c2 Microsoft Visual C++ 2008 Service Pack 1 Redistributable Package AT..

코로나19 사기방지 기능을 포함한 Avast 20.2 새 버전 출시

안녕하세요? 새로운 Avast 버전 20.2가 출시되었습니다. (20.2.2401) 공식 프로그램 릴리스 정보: ✓ 암호 보호 - 이 새로운 기능은 브라우저에 저장된 암호를 자동으로 보호합니다. 개인 정보 메뉴에서 찾기(프리미엄 보안 전용) ✓ 새 통계 -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내 통계를 클릭하여 보안 통계를 확인하십시오. ✓ 방화벽 개선 -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방화벽 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프리미엄 보안만 해당) ✓ 버그 수정 - 몇 가지 문제가 있는 버그를 수정하였습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 사기 방지 - Avast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코로나19(COVID-19) 사기 및 멀웨어를 포함하여 피싱 사기로부터 사용자를 계속 보호하기 위해 코로나 사기 방지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설치 방법: 1. 설정 ..

새로운 소식 2020.04.06

랜섬웨어 공격 패턴 유형과 감염 경로에 대해

안녕하세요? Coveware사의 랜섬웨어 복호화 관련 대응을 통해 만들어진 보고서에 따르면 랜섬웨어로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하는데 소요된 비용이 국가별로 엄청납니다. 해커에게 몸값을 주고 복호화한 복구율은 97%이고 99%가 비트코인으로 제공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엠시소프트 블로그와 신뢰성있는 랜섬 복구 업체인 커브웨어의 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커브웨어 보고서에서는 여러가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니 꼭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랜섬웨어 감염 경로를 보면 아시겠지만 주로 이메일을 통한 피싱메일을 클릭하여 감염되었다는 점과 기업의 서버나 PC에 설치되어 있는 RDP 서비스 (원격데스크탑) 오픈으로 감염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기업에서는 피싱 메일 차단을 위한 스팸/바이러스 ..

새로운 소식 20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