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명이 사용하는 AVAST 안티바이러스 백신 자세히보기

무료백신 91

Win32:Induc 악성코드 정보

Win32:Induc 악성 코드에 대해 간략히 알려드립니다. 정확한 자료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Win32:Induc 악성 코드는 지난 15일부터 출현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 알려지고 있습니다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어베스트!가 진단하기 시작한 날은 18일 입니다. 초기에는 오진 여부로 인해 많은 사용자분들이 당사 웹사이트 Q/A와 기술지원 메일을 통해 문의를 주셨으며, 당사에서는 분석팀에게 긴급 확인 요청을 통해 공식적으로 오진이 아닌 정상 진단임을 확인하였습니다. Win32:Induc 악성 코드는 델파이(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파스칼(Pascal)과 유사함)의 소스 코드에 감염되는 새로운 형태의 악성코드입니다. 즉, 사용자가 직접 감염되는 방식이 아니라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컴파..

새로운 소식 2009.08.20

어베스트! 홈/프로페셔널 에디션 v4.8.1351 출시

2009년 8월 18일자로 어베스트! 홈/프로페셔널 에디션의 1351 빌드 업그레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새롭게 추가되거나 변경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WinExec, Installer, Droppers 압축프로그램 처리 기능 향상 진단 엔진 - 버그 수정 및 성능 향상 표준 방어 프로바이더 -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안정성 강화 V5 버전의 출시를 대비한 내부적인 사전 작업 감사합니다.

새로운 소식 2009.08.18

보안 패치가 중요한 또하나의 이유 - 익스플로잇 팩 출현!

윈도우 운영 체제를 기준으로 볼 때, 새로운 운영 체제가 출시되면 보통 1년-2년 내에 서비스팩(SP, Service Pack)이라고 부르는 업그레이드 버전이 출시됩니다. 서비스팩은 제품 출시 이후에 발표된 취약점과 같은 보안 업데이트와 제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강화하는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매달 2째 주에 월간 정기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합니다. 서비스팩을 발표할 때까지 보안상 취약점에 대해 해결할 수 없는 즉, 급박한 상황에 발표하는 보안 업데이트입니다. 고객지원팀에 자주 질문되는 사항들은 "바이러스에 어떻게 하면 안걸리나요?" 입니다. 이에 대한 기술지원팀의 답변은 딱 3가지 입니다. 하지만 결론은 "보안 패치 + "백신 사용" 입니다...

새로운 소식 2009.08.16

악성 코드는 진단명으로 특징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어베스트!에서 악성 프로그램(바이러스, 악성 코드 등등)을 진단하는 경우에는 경고창과 함께 악성 프로그램의 진단 이름을 보여 주게 됩니다. 아래 화면은 어베스트! 사용자가 보내 주신 샘플 파일을 진단한 화면입니다. 악성 코드 이름 부분에는 Win32:Rootkit-gen [Rtk] 즉, 악성 프로그램의 진단명이 표시됩니다. 악성코드 형태 부분에서는 악성 코드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설명합니다. 즉, 진단 이름은 모두 3가지의 부분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동작 환경/형태/파일 확장자 - ex) Win32 악성 코드의 고유한 이름 - ex) Rootkit-gen 악성 코드 분류 형식 - ex) Rtk 1. 첫 번째 항목은 보통 악성 코드가 동작하는 운영 체제의 종류, 악성 스크립트의 확장자 이름, 저장되는..

어베스트! 안티바이러스가 자랑하는 기능 5가지를 소개합니다.

고객 상담을 하면서 가장 많이 문의해 주시는 사항이 바로 어느 백신(안티바이러스)이 더 좋으냐 하는 것입니다. 담당자로서는 어느게 좋다 나쁘다 말씀드리가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카페와 같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어떤 백신이 더 좋다 나쁘다 의견에 대해 다양한 댓글이 달리기도 하며, 이로 인해 조그만 소동까지 벌어지곤 합니다. 인터넷 상에서는 비교적 공신력이 인정되는 사이트에서 매달 또는 분기별로 각 보안 제품을 선정하여 진단율, 속도, 안정성과 같이 사용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부분을 비교 테스트하여 결과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본 자료는 어베스트! 제품이 다른 보아 제품에 비해 "더 잘잡는다, 더 훌륭하다" 등의 비교 내용 보다는 다른 제품에서는 볼 수 없는 어베스트!가 제공하는 고유한 기능에 대해 소개합..

어베스트! V5 베타 스크린샷

안녕하세요? 어베스트! 제작진은 올해 가을에 어베스트! V5 버전을 출시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8월 초에 베타 테스트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어베스트! 사용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기 위해 어베스트! V5 알파 버전의 스크린샷을 일부 공개합니다. 어베스트 V5 버전의 라이선스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료 버전: 홈 에디션과 유사합니다. 방화벽, 안티스팸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유료 버전: 프로페셔널 에디션과 유사합니다. 인터넷 슈트: 프로페서널 에디션과 유사하며 방화벽, 안티스팸 기능을 포함합니다. (알림: 라이선스 정책 및 제품 이름은 제품 정책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09.07.21

어베스트!에서 사용하는 로그 파일의 종류

로그(Log)는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여러가지 오류, 예외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내역을 의미합니다. 어베스트!에서는 실시간 감시에서 진단하는 바이러스,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 등 다양한 상황에 따른 로그를 기록하여 사용자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제공합니다. 어베스트!의 로그는 기본적으로 C:\Program Files\Alwil Software\Avast4\DATA\log 에 저장됩니다. 어베스트!에서 저장하는 로그의 파일 및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는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에 기록되는 로그입니다. Setup.log - 어베스트!를 설치하는 도중에 일어나는 모든 사항을 기록합니다. 어베스트!를 설치하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 파일을 당사로 보내 주시면 확인..

오토런 바이러스 잘 잡는 방법

안녕하세요? 어베스트! 고객지원팀입니다. 본 문서는 오토런 바이러스에 대한 문의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적절하게 치료하는 방법을 문서로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자동실행(auto-run) 이란? CD/DVD, USB 메모리와 같은 이동식 매체가 삽입되면 자동으로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 CD를 CD 롬 드라이브에 넣게 되면 자동으로 CD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오토런 바이러스 란? 오토런 바이러스는 자동 실행 기능을 이용하여 하드 디스크와 같이 다른 저장 매체를 감염시키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최근에는 윈도우의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윈도우가 실행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백신이 진단하더라도 치료하거나 삭제할 수 ..

7월 7일 DDOS 관련 악성 프로그램 진단 안내

안녕하세요? 최근 DDOS 공격에 대한 뉴스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하셨을 것입니다. 어베스트!에서는 DDOS 공격의 원인인 악성 코드 샘플을 이미 7월 7일 확보하여 분석팀에서 진단토록 조치하여 7일 부터 즉각적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어베스트 백신에서 이와 같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에 대하여 빠른 진단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와 이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심정을 전달해 주셨습니다. 이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어베스트는 이미 발생 즉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어베스트 사용자 분들께서는 안심하고 어베스트 백신을 사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우려와 관심에 다시한번 감사 말씀드립니다. 이번 DDOS 공격관련 악성..

새로운 소식 2009.07.10

2090년 바이러스(Win32:PureMorph [Cryp]) 해결 방법 안내

2월 첫 주말부터 일명 "2090년 바이러스"라고 하는 신종 악성 코드가 전파되고 있습니다. 2090년 바이러스라고 붙여진 이유는 바로 시스템 날짜를 2090년으로 변경하는 것에 유래한 것입니다. 어베스트!는 이 바이러스를 PureMorph [Cryp]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다양한 변종이 출현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의 전체적인 특징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바이러스를 치료한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가장 주요 원인은 윈도우 업데이트를 충실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MS08-067 취약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패치를 반드시 해주어야 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http://windowsupda..